기후변화 대응 보험 어떤게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한국도 기후변화로 부터 자유롭지 않고 기후변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농업, 축산, 수산업과 주택 분야에 대해 새로운 보험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어떤 보험들이 있는지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목차
기후변화 대응 보험
농작물, 가축, 수산물, 주택 재산 보험 등이 있으며 보장내용도 함께 정리 해 보았습니다.
농작물 재해보험
- 운영 주체: NH농협손해보험을 중심으로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참여하며, 정부(농림축산식품부)에서 상당 부분의 보험료를 지원 합니다.
- 특징: 태풍, 우박, 집중호우, 냉해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로 발생하는 농작물 피해를 보상 합니다.
- 보장 범위: 벼, 사과, 배, 감귤 등 다양한 작물에 대해 적용되며, 매년 정부와 보험사가 대상 작물과 보상 범위를 확대∙조정 합니다.
가축재해보험
- 운영 구조: 농작물 재해보험과 유사하게 NH농협손해보험 등에서 취급하고, 정부 지원이 있습니다.
- 보장 내용: 폭우, 폭염, 폭설 등 자연재해로 인한 축사 파손, 가축 폐사 등을 보상하며. 기후 변화로 극심해진 기상 패턴(예: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증가)에 대응하는 수단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수산물 재해보험
- 대상: 양식 어업(어류, 패류, 해조류 양식장) 종사자를 위한 보험으로, 수협 등을 통해 가입 할 수 있습니다.
- 보상 범위: 태풍, 적조(적조 현상은 수온 상승 등 환경 변화와 밀접한 관련), 저수온 피해 등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환경 이상으로 발생하는 양식 수산물 피해를 보장 합니다.
주택∙재산 보험 내 자연재해 특약
- 주요 보험사: 삼성화재,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
- 특약 내용: 주택화재보험이나 기업재산종합보험에 홍수, 태풍, 폭설 등 자연재해 피해를 담보하는 특약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 연계 재난보험
- 개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단체 재난보험을 가입해주는 정책이 있으며, 주로 태풍, 홍수, 낙뢰, 폭설 같은 자연재해 피해 발생 시 간소한 절차로 주민에게 보상한다.
평균 보험료
구분 | 대상 | 예시 보장 범위 | 정부 지원 비율(대략) | 총 보험료 수준(예시) | 가입자 부담 비율(대략) | 가입자 연간 부담 예시(범위) |
---|---|---|---|---|---|---|
농작물 재해보험 | 벼, 사과, 배, 감귤 등 다양한 작물 | 태풍, 우박, 냉해,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피해 | 50~70% | 작물∙면적에 따라 연간 수십만~수백만원 | 약 20~30% | 수 십만원 수준 |
가축재해보험 | 소, 돼지, 닭 등 가축 | 폭우, 폭염, 폭설 등 자연재해로 인한 가축 폐사, 축사 파손 | 50% 이상 지원 가능 | 축사 규모∙축종에 따라 연간 수십만~수백만원 | 약 30% 전후 | 수 십만~100만원대 |
수산물 재해보험 | 어류, 패류, 해조류 양식장 | 태풍, 적조, 저수온 등 해양환경 이상으로 인한 양식 생물 피해 | 50% 이상 | 양식 규모 및 어종에 따라 연간 수십만~수백만원 | 약 30% 전후 | 수 십만~100만원대 |
주택∙재산 보험 자연재해 특약 | 개인 주택, 상가, 기업 자산 | 홍수, 태풍, 폭우 등으로 인한 건물∙시설 피해 | 정부 지원은 상품별 상이(일반적으로 직접 지원보다는 특약 가격 책정 영향) | 주택 규모∙위험도에 따라 연간 수만~수십만원 추가 | 정부 직접지원은 제한적, 가입자 부담 100% | 수만~수십만원 수준 |
지자체 연계 재난보험 | 지역 주민(단체 가입) | 태풍, 호우, 낙뢰, 폭설 등 재해로 인한 사망/부상/재산피해 | 지자체 예산으로 전액 또는 대부분 부담 | 주민 개인별로 별도 가입 절차 無 | 0~극히 소액 | 주민 부담 없음 또는 극히 적은 금액 |
마침
지금까지 기후변화 대응 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대한민국은 재해보험이나 가축 및 수산물 보험 등이 잘 정착 되어 있고 최근 트렌드는 자연재해 특약에 많이 가입하는 추세 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