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식재거리 계산하는 방법 (계산기 포함)

나무 식재거리는 배수로나 기술적으로 과실을 재배하는 것 만큼 매우 중요한데 한 번 식재하면 수정이 안되기 때문에 한 번 식재하실 때 제대로 간격을 정해서 식재를 하셔야합니다. 나무 식재거리 계산하는 방법과 간단히 계산하실 수 있게 계산기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나무 식재거리 계산하는 방법

평수와 식재거리만 알면 간단히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계산이고 땅의 모양이나 여러 변수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여유 공간을 두시고 식재하시느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나무 식재거리 계산기

나무 식재 거리 계산기

계산하는 방법

1. 면적(평수)을 ㎡(제곱미터)로 변환

나무를 심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곱미터)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 1평 = 3.3058㎡
즉, 입력한 평수를 3.3058을 곱하여 ㎡로 변환합니다.

🔹 예제:

  • 100평 → 100 × 3.3058 = 330.58㎡
  • 50평 → 50 × 3.3058 = 165.29㎡

2. 나무 1그루가 차지하는 면적 계산

나무 간 거리가 m(미터) 단위로 입력되면, 1그루가 차지하는 면적을 계산합니다.
나무 간 거리가 **X(m)**일 때, 한 그루가 차지하는 면적은 **X × X(㎡)**입니다.

🔹 예제:

  • 나무 간 거리가 2m라면 → 2 × 2 = 4㎡
  • 나무 간 거리가 3m라면 → 3 × 3 = 9㎡

3. 총 심을 수 있는 나무 개수 계산

이제 전체 면적(㎡)을 1그루가 차지하는 면적(㎡)로 나누면 최대 심을 수 있는 나무 개수를 알 수 있습니다.
👉 총 나무 개수 = 전체 면적(㎡) ÷ 나무 1그루가 차지하는 면적(㎡)

🔹 예제 1️⃣:

  • 100평(330.58㎡), 나무 간 거리 2m
  • 한 그루가 차지하는 면적 = 2 × 2 = 4㎡
  • 총 나무 개수 = 330.58 ÷ 4 = 82그루 (소수점 버림)

🔹 예제 2️⃣:

  • 50평(165.29㎡), 나무 간 거리 3m
  • 한 그루가 차지하는 면적 = 3 × 3 = 9㎡
  • 총 나무 개수 = 165.29 ÷ 9 = 18그루 (소수점 버림)

4. 전체 공식 정리

📌 나무 개수 공식

최대식재가능나무개수=(평수×3.3058)÷(식재거리×식재거리)최대 식재 가능 나무 개수 = (평수 × 3.3058) ÷ (식재 거리 × 식재 거리) 최대식재가능나무개수=(평수×3.3058)÷(식재거리×식재거리)

이 공식을 사용하면 평수와 식재 거리를 알고 있으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만. 그냥 제가 만든 계산기를 이용해서 입력하시면 쉽게 결과값을 얻어보실 수 있습니다.

마침

지금까지 나무 식재거리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요약 해보자면 평수를 제곱미터로 변환하고 나무 한그루가 차지하는 면적을 (거리x거리)로 계산한 뒤 전체 면적을 나무 한그루로 나누면 쉽고 정확하게 식재 가능 개수를 알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ℹ️ 공지 — 본 콘텐츠는 원저작물입니다. 무단 복제나 유사 콘텐츠 작성은 자제해주시기 바라며, 반복적인 표절 또는 유사 행위가 확인될 경우 증거 수집을 통해 법적 대응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마지막으로 2025년 02월 24일에 수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