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 급수량 계산하는 방법 (계산기 포함)

작물을 재배하는 평 수가 넓을수록 많은 급수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농지 면적과 일반 수도요금으로 계산해 보았을 때 급수량은 얼마나 들어가고 요금은 얼마나 내야하는지 작물 급수량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직접 계산기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작물 급수량 계산기

작물은 먼저 선택 하시고 상추, 토마토, 수박, 벼는 바로 계산해 보실 수 있고 직접 원하는 작물을 입력해서 필요한 급수량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작물 급수량 및 수도비용 계산기

농지 면적을 입력할 때 ㎡ 또는 평 단위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1평 = 3.3058㎡)

  • 작물 급수량 : 작물 별 하루 필요 급수량
  • 면적 : 제곱미터나 평을 선택하시고 원하는 면적을 넣으시면 됩니다.

작물 급수량 계산하는 방법

  1. 총 필요 급수량 (L) = 작물의 ㎡당 급수량 (L/㎡) × 농지 면적 (㎡)
  2. 총 수도 비용 (원) = 총 필요 급수량 (L) × 수도 요금 (원/L)

주의사항

작물별로 정확한 급수량을 유지해주는 것이 어떤 작물을 재배하던 굉장히 중요한데 과소 급수나 과다 급수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과소 급수 시 문제

  • 성장 지연, 수확량 감소
  • 뿌리가 깊이 성장하지 못해 약한 작물로 성장
  • 토양이 너무 건조하면 영양분 흡수 저하

💦 과다 급수 시 문제

  • 뿌리 부패 (과습)로 인해 작물 고사
  • 토양 내 산소 부족 → 영양소 흡수 방해
  • 병충해 증가 (곰팡이, 해충 발생)

🔹 TIP:
📌 급수량은 작물 성장 단계에 따라 다름
📌 기후, 토양, 작물 상태에 따라 조절 필요

기후와 계절에 따른 급수량 조절

  • 여름 (고온, 건조): 물 증발이 빨라 급수량 증가 필요
  • 겨울 (저온, 습함): 토양이 건조하지 않으면 급수량 감소 필요
  • 비 오는 날: 자연 강수량 고려하여 급수량 조절

🔹 TIP:
📌 야간 급수 추천: 낮에 물을 주면 증발량 증가 → 저녁이나 새벽 급수가 효과적
📌 지속적 관찰 필요: 작물의 잎 색깔, 수분 상태를 보고 급수량 조절

토양 종류에 따른 급수량 조절

  • 모래토: 배수가 빠르므로 급수량 많아야 함
  • 점토질 토양: 수분 유지가 높아 급수량 조절 필요
  •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 보습력이 뛰어나 적정량 유지 필요

🔹 TIP:
📌 배수가 너무 빠르면 멀칭(비닐) 활용
📌 배수가 안 되면 배수로 정비 필수

수도비 절약하는 방법

  1. 빗물 저장 활용 (우수 저장탱크 설치)
  2. 이른 아침, 저녁 시간대 급수 (낮에는 증발량 증가)
  3. 점적 관개 시스템 활용 (불필요한 물 낭비 방지)

🔹 TIP:
📌 수도요금이 높은 지역에서는 지하수, 빗물 활용 고려
📌 필요 없는 곳에 물이 흘러가지 않도록 작물별 급수 조절

마침

지금까지 작물 급수량 계산하는 방법과 계산기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작물마다 적절한 급수량을 유지해야 작물이 건강하고 맛도 좋고, 기후나 토양 계절까지 고려 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ℹ️ 공지 — 본 콘텐츠는 원저작물입니다. 무단 복제나 유사 콘텐츠 작성은 자제해주시기 바라며, 반복적인 표절 또는 유사 행위가 확인될 경우 증거 수집을 통해 법적 대응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마지막으로 2025년 02월 26일에 수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