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는 국가에서 무료로 치료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치료비는 크게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외국인도 결핵 무료치료가 가능한데 무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조건과 궁금해 하실만한 내용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결핵 무료 치료 받는 방법을 살펴보시죠.
결핵 무료 치료 대상은??
국가에서 결핵 치료를 무료로 지원하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원 대상
- 결핵 확진 환자(폐결핵, 척추결핵, 림프결핵 등 모든 형태)
- 잠복결핵 감염자(치료가 필요한 경우)
- 건강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국민 및 외국인 등록자(체류자격이 있는 경우)
✅ 지원 내용
- 항결핵제 및 치료비 전액 지원 (외래 및 입원 포함)
- 검사 비용 지원 (X-ray, 결핵균 검사, CT 등)
- 잠복결핵 치료 지원
- 다제내성 결핵(MDR-TB), 광범위 내성 결핵(XDR-TB) 환자의 고가 치료제 지원
- 치료 중 생계가 어려운 환자의 생활비 지원 가능
결핵 무료 치료 받는 방법
국가에서 결핵 무료 치료를 받으려면 다음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 1) 결핵 검진 및 확진
-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 흉부 X-ray 및 결핵균 검사 진행
- 양성 판정 시 치료 시작
✅ 2) 무료 치료 신청
- 보건소에서 치료받을 경우 자동으로 무료 치료 적용
- 일반 병원에서 치료받을 경우 보건소에서 발급하는 “결핵환자 등록증”을 제출하면 치료비 지원 가능
✅ 3) 지속적인 치료 관리
- 6개월~9개월간 꾸준한 항결핵제 복용 필수
- 중단 없이 치료를 받아야 재발 및 전염 방지 가능
✅ 4) 다제내성 결핵 환자의 경우
- 치료 기간이 2년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전국 10개 결핵 전문 치료기관(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 등)에서 입원 치료 가능
- 필요 시 보건소에서 생활비 지원 신청 가능
Q&A
🔹 Q: 결핵 치료 중 직장을 다녀도 되나요?
✔️ 결핵은 초기에 전염성이 높지만, 약을 2주 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전염력이 거의 사라집니다.
✔️ 다만, 병원에서 격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Q: 가족에게 결핵이 전염될 수도 있나요?
✔️ 전염성이 높은 개방성 결핵의 경우 주위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가족과 동거 중이라면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촉자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Q: 치료 중 부작용이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 항결핵제는 간 손상, 위장 장애,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부작용이 심하면 즉시 보건소 또는 병원에 상담 후 약 조정을 받아야 합니다.
🔹 Q: 외국인도 무료 치료를 받을 수 있나요?
✔️ 네, 등록된 외국인(체류자격 있음) 의 경우 무료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불법 체류자의 경우에도 치료가 필요하면 보건소에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치료를 받았다고 해서 출국 조치가 되지는 않습니다.
🔹 Q: 결핵이 완치되면 다시 걸릴 수도 있나요?
✔️ 치료를 끝까지 받으면 재발 위험이 낮아지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 건강한 생활습관과 정기 검진이 중요합니다.
외국인도 치료가 가능하고 불법 체류자도 치료가 가능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체류 자격이 있는게 마음 편하게 진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결핵 무료 치료 상담
- 보건소 : 가장 가까운 보건소에서 결핵 검진 및 치료 상담 가능
- 대한결핵협회 : 1544-5035 무료치료 및 예방상담 가능
- 결핵 전문병원 : 국립 마산병원, 국립 목포병원 등에서 치료도 가능
마침
지금까지 결핵 무료 치료 받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꾸준한 약 복용만 해도 완치가 가능하고 국가에서 치료비용을 100% 지원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치료 받으실 수 있고 꾸준한 관리가 중요해서 증상이 의심되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