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작업실은 혼자 이용하는 공간이 아닌 다 수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작업 공간입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공간을 마련하실 수도 있고 외향적인 성격을 가지신 분이라면 동종업계에서 일하고 있는 분들과 친해져 인맥을 쌓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공유 작업실 구하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유 작업실 구하는 법
공유 작업실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유명한 곳으로는 스페이스 클라우드, 빌린 공간 두 곳이 있습니다. 보통 프리랜서 분들이나, 부업으로 작업하는 경우 많이 이용하시는데 만족하는 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습니다.
- 작업을 할 때 “출 퇴근”하는 기분이 있어야 하고 공간을 분리 했을 때 집중력이 더 해지는 분이라면 적극 추천드립니다.
스페이스 클라우드
전국의 음악작업실이나, 미술 작업실, 재봉틀 작업실 및 연습실, 파티룸 등 2인 ~20인 작업 공간을 소개 해주는 플랫폼 입니다.
빌린공간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등 주요 도시의 150여 개 이상 공유 작업실을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로 저렴한 가격으로 작업실을 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원하는 지역을 기반으로 검색 해 보시면 원하는 작업실을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평균 비용
비용은 지역이나 시설에 따라 가격이 다르지만 평균적인 지역 별 시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 20~35만 원 |
경기도 | 15~25만 원 |
부산 | 10~20만 원 |
대구 | 10~20만 원 |
광주 | 10~15만 원 |
해당 금액만 있다고 바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작업실에 따라 보증금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입회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보증금은 보통 2~3개월치 월세 비용을 거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결혼하신 분이라면 꼭 배우자와 상의를 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여담으로 결혼 하신 분들 중에 계약 먼저 하고 배우자에게 나중에 알렸다가 부부 싸움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 배우자가 있는 분이라면 꼭 상의를 하시고 작업실을 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팁
작업실을 구하실 때는 주변의 편의시설이나 출 퇴근이 가까운지 먼저 따져 보시고 구하셔야 합니다. 특히 지방 쪽이라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성비가 좋고 가구를 넣거나 에어컨, 의자, 책상들을 넣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준비를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변에 공유 작업실이 없다면 다른 공간을 활용해서 작업실로 활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동네 개인 카페, 소호 사무실, 원룸 자취 집, 독서실, 본가 등
마침
지금까지 공유 작업실 구하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작업 일정을 빨리 소화하기 위해 벽만 보고 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일 때도 요긴하게 이용할 수 있고 휴양 느낌을 원하신다면 우리나라와 계절이 반대 되는 곳에 휴양차 놀러 가셔서 작업을 해도 좋은 방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